728x90
반응형

C++로 컴포넌트를 추가하고 VisibleAnywhere 매크로를 사용해도 아무것도 보이지 않을때가 종종 생긴다...
그럴때에는 해당 컴포넌트의 변수의 이름을 바꿔준 후 다시 컴파일하면 된다!
<cpp />
// Pawn.h 수정 전
{
.
.
UPROPERTY(VisibleAnywhere)
USpringArmComponent* SpringArm;
.
.
}
// Pawn.h 수정 후
{
.
.
UPROPERTY(VisibleAnywhere)
USpringArmComponent* MySpringArm;
.
.
}
<cpp />
// Pawn.cpp 수정 전
{
.
.
SpringArm = CreateDefaultSubobject<USpringArmComponent>(TEXT("SpringArm"));
SpringArm->SetupAttachment(RootComponent);
SpringArm->TargetArmLength = 300.f;
.
.
}
// Pawn.cpp 수정 후
{
.
.
MySpringArm = CreateDefaultSubobject<USpringArmComponent>(TEXT("MySpringArm"));
MySpringArm->SetupAttachment(RootComponent);
MySpringArm->TargetArmLength = 300.f;
.
.
}
이렇게

+ 이 방법으로도 해결이 안된다면?
문제가 발생하는 블루 프린트의 부모 클래스를 다른 클래스로 변경해준 후에 다시 원래 클래스를 부모로 지정해주면 해결된다.
CustomClass -> Actor -> CustomClass

하지만 이렇게 진행할 경우 해당 블루프린트의 설정과 스켈레탈 메시, 넣어준 애니메이션 몽타주 등등 모두 부모 클래스의 초기 설정으로 돌아가버린다.

그러므로 기존 블루프린트를 복사 후 사용하여 참고해 설정 값을 다시 복구시키는 것을 추천한다.

Actor 설정 후 다시 PlayerCharacter로 변경하여 모든 설정이 초기화 된 모습
728x90
반응형
'Unreal > Debu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UE5/언리얼 엔진5] 함수에서 참조되는 확인할 수 없는 외부 기호 / 델리게이트 오류 (0) | 2023.07.07 |
---|---|
[UE5/언리얼 엔진5] GroomComponent를 사용할 때 Niagara 에러 (0) | 2023.04.20 |
[UE5/언리얼엔진5] 인텔리센스 작동 안 함 / UBT_COMPILED_PLATFORMCriticalSection.h (0) | 2023.04.20 |
[UE5] 언리얼엔진 랜드스케이프 텍스쳐 사라짐 / 렌더링 실패 (0) | 2023.04.15 |
[UE5] 언리얼5 애니메이션 적용 안 됨 (0) | 2023.02.18 |